전임자에 대한 승진배제와 불이익취급의 부당노동행위
전임자에 대한 승진배제와 불이익취급의 부당노동행위
1. 불이익취급의 부당노동행위의 의의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 또는 가입하려고 하였거나 노동조합을 조직하려고 하였거나 기타 노동조합의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를 한 것을 이유로 그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행위(노조법 제81조 제1호)를 불이익취급의
부당노동행위라 한다. 즉 불이익취급의 부당노동행위가 성립하려면, 첫째로
노동조합 가입·조직 등 근로자의 정당한 단결활동 등의 행위가 있어야 하고, 둘째로 사용자의 불이익처분이 있어야 하며, 셋째로 사용자의 불이익처분이
근로자의 정당한 단결활동 등을 이유로 해야 한다. 여기서 ‘이유로’ 한다는 것은 부당노동행위 의사를 가지고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판례는 부당노동행위 의사가 필요하다고 하면서 다만, 그와 같은
의사는 사용자의 내심의 의사에 속하므로 그와 같은 의사의 존재에 대해서는 부당노동행위 의사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제반 사정 등을 비교 검토하여
판단하여야 한다고 판시(대법원 1999. 11. 9. 선고 99두4273 판결)하고
있어, 부당노동행위의사는 외부에 나타난 객관적 사실로부터 추정하는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2. 전임자에 대한 승진배제와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의사
노조법 제81조 제1호의
불이익취급의 부당노동행위가 성립하려면 사용자의 불이익처분이 근로자의 정당한 단결활동 등을 ‘이유로’ 해야 한다. 판례는 부당노동행위가 성립되기 위하여는 부당노동행위
의사가 필요하다고 하면서 다만, 그와 같은 의사는 사용자의 내심의 의사에 속하므로 그와 같은 의사의
존재에 대해서는 부당노동행위 의사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제반 사정 등을 비교 검토하여 판단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여(대법원 1999. 11. 9. 선고
99두4273 판결), 부당노동행위의사는 외부에
나타난 객관적 사실로부터 추정하는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따라서, 노조전임자에 대한 사용자의 승진배제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부당노동행위 의사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판례에 따르면
“사용자의 노조전임자에 대한 승진배제 행위가 위와 같이 부당노동행위 의사에 의하여 이루어진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사용자와
노동조합의 관계, 노조전임자와 비전임자 사이에 승진기준의 실질적인 차별이 존재하는지, 종래의 승진 관행에 부합하는지 등과 같이 부당노동행위 의사의 존재 여부를 추정할 수 있는 여러 객관적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라고 판시하고 있다. (대법원 2011.7.28. 선고 2009두9574
판결)
그런데, 노조 전임자가 영업활동을 하지 않는데도, 노조전임자에 대한 승격기준을 별도로 정하지 아니한 채 다른 영업사원과 동일하게 판매실적에 따른 승격기준만을
적용한 것은, 노조전임자라는 이유만으로도 승격가능성을 사실상 차단한 것이므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는
것이 판례의 태도이다. (대법원 2011.7.28. 선고 2009두9574 판결)
참고 판례
부당 노동 행위 구제 재심 판정 취소
[대법원 2011. 7.
28., 선고, 2009두9574, 판결]
【판시사항】
[1] 사용자가 노조전임자를 승진에서 배제시키는 행위가 부당노동행위
의사에 의하여 이루어진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2] 자동차판매업 등을 영위하는 甲 주식회사가 2006년도 승격인사를 실시하면서 노조전임자인 乙 등은 근로제공의무가 면제되어 영업활동을 하지 않았는데도 노조전임자들에
대한 승격기준을 별도로 정하지 않은 채 다른 영업사원과 동일하게 판매실적에 따른 승격기준만을 적용하여 乙 등을 승격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은 사안에서, 이는 노조전임자로 활동하였다는 이유만으로 승격가능성을 사실상 배제한 것으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본 원심판단을
정당하다고 한 사례
[3] 사용자의 행위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서 정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는 점에 관한 증명책임자(=근로자 또는 노동조합)
[4] 업무능력, 근무성적, 상위직에 대한 적격성 등의 반영에 의하여 승진이 이루어지는 이른바 ‘능력주의
승진제도’하에서 노조원과 비노조원을 비교해 볼 때 승진에 격차가 발생하였다고 하여 곧바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5] 자동차판매업 등을 영위하는 甲 주식회사가 2006년도 승격인사를 실시하면서 노조원 丙 등을 승격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은 사안에서, 甲 회사의 2006년도 영업사원 승격기준에 따른 근무실적이 丙 등과
같거나 이들보다 못한 비조합원이 승격대상에 포함되었다고 볼 증거가 없으므로, 甲 회사가 조합원에게 불이익을
주려는 의사로 유독 丙 등을 승격대상자에서 제외시켰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甲 회사의 丙 등에
대한 승격배제 행위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1]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1항 제1호
[2]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1항 제1호
[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1항 제1호
[4]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1항 제1호
[5]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3]
대법원 2007. 11. 15. 선고 2005두4120 판결(공2007하, 1932) / [4]
대법원 1998. 2. 10. 선고
96누10188 판결(공1998상, 774)
【전문】
【원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대우자동차판매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신화 담당변호사 백준현)
【피고, 피상고인】
중앙노동위원회위원장
【피고보조참가인(선정당사자),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9. 5. 14. 선고 2008누28204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 중 원고의 상고로 인한 부분은 원고가, 피고 보조참가인(선정당사자)들의
상고로 인한 부분은 선정자 3, 4, 5, 6, 7이 각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사용자가 노조전임자의 노동조합활동을 혐오하거나 노동조합활동을 방해하려는 의사로 노조전임자를 승진에서 배제시켰다면
이러한 행위는 노동조합활동을 하는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이어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할 것이나, 사용자의
노조전임자에 대한 승진배제 행위가 위와 같이 부당노동행위 의사에 의하여 이루어진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사용자와 노동조합의 관계, 노조전임자와 비전임자 사이에 승진기준의 실질적인 차별이 존재하는지, 종래의
승진 관행에 부합하는지 등과 같이 부당노동행위 의사의 존재 여부를 추정할 수 있는 여러 객관적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원심은, 원고가 2006년도
영업사원 승격기준을 정함에 있어 노조전임자인 보조참가인들과 그 원심 선정자 3, 5는 사용자에 대한
근로제공의무가 면제되어 영업활동을 하지 아니하는데도 노조전임자들에 대한 승격기준을 별도로 정하지 아니한 채 다른 영업사원과 동일하게 판매실적에
따른 승격기준만을 적용한 것은, 이들이 노조전임자로 활동하였다는 이유만으로 승격가능성을 사실상 차단한
것이므로, 이러한 승격기준에 의해 이루어진 위 보조참가인 등에 대한 승격배제는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부당노동행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고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는 등의 위법은 없다.
2. 피고보조참가인들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사용자의 행위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정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는 점은 이를 주장하는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이
증명하여야 하므로, 필요한 심리를 다하였어도 사용자에게 부당노동행위의사가 존재하였는지 여부가 분명하지
아니하여 그 존재 여부를 확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로 인한 위험이나 불이익은 이를 주장하는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이 부담할 수밖에 없다( 대법원 2007. 11. 15. 선고 2005두4120 판결 등 참조).
한편 업무능력, 근무성적, 상위직에 대한 적격성
등의 반영에 의하여 승진이 이루어지는 이른바 능력주의 승진제도하에서 조합원이 노동조합에 가입하고 있음을 이유로 비조합원과 비교하여 승진에 있어서
불이익한 취급을 받았다고 하기 위해서는, 당해 조합원이 비교대상으로 된 비조합원과의 사이에 업무능력, 근무성적, 상위직에 대한 적격성 등에 있어 차이가 없어야 하므로, 노조원과 비노조원을 비교하여 볼 때 결과적으로 승진에 있어 격차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그로써 곧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1호의 부당노동행위가 있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 ( 대법원 1998. 2. 10. 선고 96누10188 판결 참조).
원심은, 원고의 2006년도
영업사원 승격기준에 따른 근무실적이 선정자 3, 4, 5, 6, 7과 같거나 이들보다 못한 비조합원이 2006년도 승격대상에 포함되었다고 볼 증거가 없으므로, 설령 위
선정자 등이 원고의 사업분할 및 전적을 거부하고 원고와 대립하여 온 핵심적인 조합원들이라고 하더라도, 원고가
조합원에게 불이익을 주려는 의사로 유독 위 선정자 등을 승격대상에서 제외시켰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보았는바, 원심의
이러한 인정과 판단도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부당노동행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고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는 등의 위법은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각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상훈(재판장) 김지형
전수안(주심) 양창수